전체 글136 [자동차] 다양한 전용 주차구역 과태료 부과 여부 (장애인, 전기차, 거주지, 소방차, 여성, 임산부, 어르신, 경차 전용 주차구역) 주차장에는 경차 전용, 여성 전용, 장애인 전용 등 운전자별, 차종별 편의를 배려하기 위해 다양한 전용 주차구역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혼잡한 주차장에서 어렵게 빈자리를 찾아 신나게 달려갔는데 전용 주차구역이라 실망한 경험이 대부분 운전자에게는 있을 것 같습니다. "전용 주차구역이든 말든 바쁜데 그냥 잠깐 주차해버릴까?" 살짝 고민하다 다른 차량 통행에 방해가 되지는 않을까, 감시용 CCTV에 찍혀 과태료가 부과 되지는 않을까 싶어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고 전용 주차구역 외 주차구역을 찾아 다시 헤매곤 하셨을 겁니다. 오늘은 다양한 전용 주차구역별 과태료가 부과되는 구역과 과태료가 부과는 되지 않지만 꼭 준수해야 할 구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태료 부과되는 전용 주차구역 1.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2023. 12. 29. 겨울철 디젤 자동차 연료필터 관리법 시동꺼짐 주의 (Ft. 디젤 연료필터 교체시기 교체비용) 연일 강추위로 몸이 움츠려지는 겨울철, 디젤 자동차를 소유하신 분들이라면 시동이 제대로 걸리지 않아 출근길 발을 동동거린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겨울철 디젤 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는 배터리방전과 예열 플러그 결함 그리고 연료필터 결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젤 자동차에서 연료필터의 역할과 연료필터의 교체시기 및 관리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겨울철 디젤 자동차 시동이 안걸리는 이유 겨울철에 디젤 자동차의 시동이 안 걸리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주요한 이유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연료 응고: 추운 날씨에는 디젤 연료가 응고하여 연료 시스템의 유동성을 감소시킵니다. 연료가 응고되면 연료 흐름이 막히고 시동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배터리 약화: 추운 날씨에서는 배터리의 .. 2023. 12. 26.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장단점 (Ft.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선호하는 이유) 최근 국제 유가 상승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의 유류비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내연기관 모델의 편의성과 전기 모터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소비자들의 선택을 많이 받고 있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무엇인지, 현재 대한민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장단점, 최근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선호하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자동차입니다. 내연기관은 주로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전기 모터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이 두 가지 시스템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환경 친화적인 운전을 지원합니다. .. 2023. 12. 26.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차이점 정의 장단점 성능 이번 글에서는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대해 알아보고, 각 차량의 성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이 세 가지 차량은 모두 환경 친화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전기차 (Electric Vehicle) 전기차는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내연기관 대신에 배터리로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주행합니다. 전기차는 배출 가스가 없으며,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차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전기차 정의와 작동 원리 전기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전기 모터에 공급하여 바퀴를 회전시킵니다. 배터리는 외부 전력원을 통해 충전되며, 충전된 전기는 모터 컨트롤 유닛을 통해 전기 모터로 전달됩.. 2023. 12. 25. 타인 주민등록증 이미지 부정 사용 시 최대 징역 3년 처벌 (2023/12/26 시행) 2023년 12월 26일부터 시행되는 주민등록법 개정안에 따르면, 타인의 주민등록증 이미지 파일이나 복사본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인터넷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타인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도용하는 사례가 예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타인 주민등록증 이미지 부정 사용 시 처벌 현재까지는 주민등록증 이미지 파일을 부정하게 사용해도 원본이 아니라는 이유로 '주민등록증 부정사용죄'로 처벌할 수 없었으나, 이번 개정안으로 인해 명확한 처벌 대상으로 규정되었습니다. 개정안은 2023년부터 12월 26일 시행되며, 즉시 효력을 발휘합니다. 이와 관련해 행안부는 주민등록증과 모바일 확인서비스의 위변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식별.. 2023. 12. 2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