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6 [자동차세] 연납신청기간 연납신청방법 할인율 (Ft. 자동차세 납부방법) 자동차세란 자동차를 보유한 사람이라면 정기적으로 납부해야하는 세금으로 매년 6월과 12월에 걸쳐 2회 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 오늘은 소소하게 자동차세를 아낄 수 있는 '자동차세 연납'이 무엇인지, 자동차세를 얼마나 할인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에 앞서 간단히 내가 내야 할 자동차세가 얼마나 될지 미리 계산해볼까요?위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위택스 > 지방세정보 > 지방세 미리계산 > 자동차세(소유) ) 2023년 자동차세 납부기간 2분기 2023년 자동차세 납부기간 2분기분은 2023년 12월 16일부터 2024년 1월 2일까지 입니다. 1. 정기납부일자 ㆍ1분기: 2023년 6월 16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ㆍ2분기: 2023년 12월 1.. 2024. 1. 10. [자동차] 명의이전 비용 및 명의이전 방법(온라인, 오프라인 차량 명의이전, 개인&가족간 명의이전) 최근, 신랑이 새차를 사게 되면서 신랑이 타던 자동차를 물려받게 되어 자동차 명의이전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새차를 출고하거나 매매상사로부터 구입할 때는 담당자들이 등록 및 이전처리를 대행해 주지만 개인끼리 중고차를 거래하거나 가족끼리 주고 받을 때에는 차만 가져온다고 해서 주인이 바뀌는 게 아니라 명의를 옮기는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오늘은 직접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자동차 명의이전 방법과 양도인, 양수인 준비 서류 등을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명의이전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1. 자동차 명의이전 비용 자동차 명의이전을 하게 되면 취득가액의 7%에 해당하는 취득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취득세 과오납을 방지하기 위하여 참고할 사항으로 담당 공무원이 취득세를 부과할 때 양수인이 제출한 자동차.. 2024. 1. 9. [자동차] 단독명의에서 공동명의로 변경하는 방법 및 준비서류 알아보기 최근 운전면허증을 취득해 신랑 소유의 자동차를 단독명의에서 공동명의로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전문가 도움없이 혼자 힘으로 해낼 수 있을지 살짝 두려움을 안고 차근차근 인터넷 검색 후 사전준비를 마친 후 신랑과 차랑등록사업소에 방문하여 자동차 단독명의에서 공동명의로 변경을 무사하게 마무리 했답니다. 저처럼 처음 진행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자동차 단독명의를 공동명의로 변경하는 방법, 구비서류, 유의할 점 등을 정리해보았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일단 간단하게 아래 링크를 통해 자동차 명의이전으로 인한 비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해 보세요.위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자동차 공동명의로 변경하는 이유와 방법 1. 자동차 공동명의로 변경하는 이유 단독명의였던 자동차를 두 명 .. 2024. 1. 9. [자동차] 공동명의에서 단독명의로 변경하는 방법 및 준비서류 알아보기 엄마와 자동차 공동명의로 되어 있던 부분을 단독명의로 바꿔야 할 사유가 생겨 전문가에게 의뢰하지 않고 혼자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 여러날 검색해 보았습니다. 생전 처음 하는 일이라 두려움이 있었지만 세상 사는 거 다 똑같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자신감으로 자동차 공동명의를 단독명의로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차근차근 시작해 보았고 어렵지 않게 최종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저처럼 처음 진행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자동차 공동명의를 단독명의로 변경하는 방법, 구비서류, 유의할 점 등을 정리해보았으니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일단 간단하게 아래 링크를 통해 자동차 명의이전으로 인한 비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해 보세요. 자동차 공동명의보다 단독명의가 더 좋은점 공동명의와 단독명의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어.. 2024. 1. 9. 경기도 기회소득 총정리 2024년 (Ft. 체육인, 농어민, 기후행동, 아동돌봄 기회소득) 경기도가 추진하는 '경기도 기회소득' 정책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경기도 기회소득은 사회에서 가치를 창출하면서도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대상에게 일정 기간 동안 소득을 보전해주는 정책입니다. 이를 통해 해당 대상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으로 보상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술인과 장애인을 위한 기회소득은 이미 도내에서 시행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약 1만 4,000여 명에게 기회소득을 지급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체육인, 농어민, 기후행동, 아동돌봄 등 4개의 신규 기회소득 대상에 대한 조례 제정과 보건복지부 및 사회보장제도와의 협의를 거쳐 추가적인 기회소득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체육인 기회소득은 도내 거주하는 전문선수들에게 연간 150만 원을 2차례에 걸쳐 지급하는 내용입니다. 농어.. 2024. 1. 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