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6 전남인이라면 친환경농가 소득 위해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참여하기! 본인 부담금 25만원 포함 1인당 연 50만원 수도권 향우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은 전라남도가 농자재 가격과 생산비 상승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친환경농가의 소득 향상을 위한 판로 확보와 수도권 향우의 애향심 고취를 위해 마련된 지원프로그램으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전남 향우3천 명에게 사업비 15억 원으로 본인 부담금 25만 원을 포함한 1인당 연 50만 원 상당의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를 지원하는 전남도 자체 사업입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전남 향우인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및 착한 소비를 기다립니다. 1. 수도권 향우 친환경 농산물 지원 대상 및 지원내용, 신청방법과 신청서류친환경농산물 꾸러미를 신선하고 저렴하게 받아보실 수 있도록 신청을 받고 있으니 꼼꼼히 살펴보시고 많은 향우인들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향우인들의 작은 관심.. 2023. 7. 16. 밀란 쿤데라 '불멸의 노래' '흡사''기억의 밤' 다시 읽기, 밀란 쿤데라 94세 별세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 작가가 2023년 7월 11일에 94세의 나이로 후명을 밝히며 세상을 떠났습니다. 밀란 쿤데라 작가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그의 후명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다뤄보겠습니다. 밀란 쿤데라 작가 일대기밀란 쿤데라 작가는 1929년 4월 1일 체코스로바키아(현재 체코)의 브노에서 태어났습니다. 체코에서 성장한 그는 프라하 찰스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하고 작가로서의 꿈을 키워나갔습니다. 그는 1959년에 발표한 자신의 첫 소설인 '속박(Útěk toho nejlepšího)'으로 데뷔를 하였으며, 이를 시작으로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세상에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그의 소설들은 그가 생전에 걸맞게 '구성미학'이라는 예술철학을 지향하며, 장면과 인물들의 내면심, 일상 속의 사소한 사실.. 2023. 7. 13. '만 나이 통일법' 완전 정복, 만 나이 계산기 2023년 6월 28일에 생일이 지나면서 나이가 오르는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었습니다. '만 나이 통일법' 시행과 관련해 그동안 헷갈렸던 나이 기준이 하나로 통일된다는 면에서 환영하는 반응이 있는가 하면, 예외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혼란스러움 또한 느끼는 것 같습니다. 이에 Q&A를 통해 '만 나이 통일법'의 헷갈리는 부분을 한 번에 정리해 보겠습니다. '만 나이 통일법' Q&A Q.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을 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태어난 날을 1살로 보는 '한국식 나이'와,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는 '연 나이', 그리고 생일을 기점으로 나이가 먹히는 '만 나이'를 혼용하여 사용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혼용으로 인해 각종 규정이나 계약서 등에서 혼돈이 발생하며, .. 2023. 7. 6. 아스퍼거증후군 정의 및 원인, 치료 방법 및 지원프로그램 아스퍼거증후군 정의 및 원인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 스펙트럼에 속하는 신경 발달 장애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1940년대 오스트리아 소아과 의사인 한스 아스퍼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개인이 종종 높은 지능과 언어 능력을 보이는 경미한 형태의 자폐증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그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병력이 있는 가족에서 이 상태의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전적 요소를 나타냅니다. 태아기 특정 독소에 대한 노출 또는 임신 중 산모 .. 2023. 6. 29. 범불안장애(GAD) 정의 및 원인, 치료방법 및 지원프로그램 범불안장애(GAD) 정의 및 원인 범불안장애(GAD)는 일, 관계, 건강 또는 일상적인 상황과 같은 삶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과도하고 통제할 수 없는 걱정이나 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건강 상태입니다. 그것은 종종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GAD의 정확한 원인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생물학적, 유전적, 환경적, 심리적 요인의 조합이 발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GAD의 일부 잠재적 원인 및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전적 요인: 불안 장애의 가족력이 있는 개인은 범불안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과도한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을 높이는 특정 유전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뇌 화학: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은 기.. 2023. 6. 28.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